아기 자폐 증상 및 자폐스펙트럼 알아보기
자폐는 자폐스펙트럼 장애라고 하며 언어적 또는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장애, 사회적인 상호작용의 결함, 상동적 행동 및 관심 범위의 제한을 주 증상으로 하는 아동기 신경발달학적 장애를 말합니다.
여자아이보다는 남자아이에게 더 많이 나타나며 보통 12개월에서 24개월 사이의 시기에 장애를 발견하게 됩니다. 타인의 눈을 마주치지 못하거나 표정이나 사회적 제스처나 자세가 또래에 비해 비교적 적은 모습이 특징입니다.
자폐스펙트럼 장애는 지적장애로 혼동될 수 있습니다. 자폐스펙트럼 장애에 비해 지적장애는 모든 영역의 발달이 비슷하게 저하된 것을 말합니다.
1. 혼자 놀며 마치 자기만의 세계에 있는 듯 행동합니다.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은 사람들과 상호 교류가 잘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들과 상호작용에는 관심조차 갖지 않습니다.
2. 말수가 적고 불러도 반응을 보이지 않습니다.
불러도 반응이 없으니 청각에 이상이 있다고 오해를 하는 분들도 많습니다. 옹알이를 거의 하지 않거나 의미 없는 소리를 내는 시간이 길며 언어를 의사소통의 목적으로 쓰지 않습니다.
3. 자동차 바퀴나 선풍기가 돌아가는 모습을 좋아하는 등의 반복적인 행동을 관찰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은 반복적이고 판에 박은 것 같은 반복 행동을 보이게 됩니다. 예를 들면 계속해서 손뼉을 치거나 제자리를 빙빙 도는 행동, 스위치를 계속해서 껐다 켰다 반복하는 행동, 선풍기가 계속해서 돌아가는 모습을 지켜보는 행동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행동을 제지하면 심하게 떼를 쓰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4. 화를 낼 때 심하게 내며 부모가 달래도 감정을 안정시키기 어려워합니다.
누군가 안거나 업어주려고 하면 지나치게 몸을 뻗치며 거부하거나 싫어할 때가 많고 화를 낼 때는 어떻게 감정을 안정시키기 어려운 모습을 보입니다. 자폐스펙트럼 장애의 치료는 사회적 의사소통과 상호 교류를 증진시키고 비효율적이고 반복적인 행동을 줄여나가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애착증진 치료와 사회기술 훈련, 의사소통 기능 훈련 등의 다양한 치료를 받게 됩니다. 지금 이 증상이 모두 해당이 된다면 정신건강의학과에 아이를 데리고 진료를 받아보시길 권유드립니다. 힘내시고 쾌유될 수 있기를 응원하겠습니다. 지금까지 아기 자폐 증상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건강정보 * > 건강 정보들 1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루이보스차 효능 및 부작용 (0) | 2022.08.29 |
---|---|
식도암 초기 증상 및 원인과 치료 알아보기 (0) | 2022.08.29 |
머리카락 굵어지는 법 (0) | 2022.08.19 |
머릿니 새기는 이유 및 없애는 방법 (0) | 2022.08.19 |
금니가 빠졌을 때 대처 방법 (0) | 2022.08.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