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아쇠 수지 증후군 원인 및 치료방법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휴대폰을 손에서 놓지 못하는 것 때문에 앓고 있는 증후군 중에 하나인 방아쇠 수지 증후군이 있습니다. 손가락을 구부릴 때 총의 방아쇠를 당기는 것처럼 딸각거린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아픈 손가락을 손등 쪽으로 눌러주는 동작을 하면 심한 통증을 느끼게 됩니다.
방아쇠 수지 증후군이란?
손가락을 구부리거나 펴기가 힘들어지고, 동작을 시행할 때 '딸깍'하는 소리가 난다고 해서 방아쇠 수지라고 불립니다.
손가락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힘줄을 감싸고 있는 막이 붓거나 결절을 형성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장기간 방치를 하면 신경이 손상이 됩니다.
방아쇠 수지 증후군 원인
원인이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유전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을 한다고 합니다. 가족력, 염색체 이상 등으로 발생을 합니다.
방아쇠 수지는 오랫동안 긴장 상태로 손가락을 구부린 채로 일하는 사람, 손잡이가 달린 기구나 운전대 등 장시간 손에 쥐는 직업을 가진 사람, 요리사, 운동선수, 드릴처럼 반복적으로 진동하는 기계를 만지는 직업을 가진 사람에게 많이 발생합니다.
남성에 비해 중년 여성에게 2~6배 더 흔하게 발생을 합니다.
최근 컴퓨터 사용이 많은 직장인, 과도한 스마트폰 사용 등으로 젊은 환자들도 늘고 있습니다. 손가락의 발병 위치로는 엄지손가락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납니다. 약지, 중지, 소지, 검지 순으로 나타납니다.
손가락을 꼭 쥘 때 통증이 나타납니다. 증상이 심해진다면 힘줄의 중간 부분이 두꺼워지면서 힘줄이 지나가는 통로에 걸리게 됩니다. 이로 인해서 방아쇠를 당기는 것처럼 걸렸다가 갑자기 펴지는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방아쇠 수지 증후군 주요 증상은 손가락이 잘 펴지지 않는 것으로, 반대로 억지로 편 손가락이 잘 굽혀지지도 않는 증상도 나타납니다.
주로 3,4번째 손가락과 엄지손가락에서 이런 증상을 겪는데, 염증이 악화될수록 통증이 심해지고 손가락을 구부리고 펴는데 어려움을 겪습니다.
대게 방아쇠 수지 발병 초기에는 가벼운 뻐근함 정도만 느껴지기 때문에 대수롭지 않게 넘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조기에 치료를 하셔야 합니다. 만성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일상생활을 하는데 방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정형외과를 찾아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경미한 환자에게는 관절약이 효과가 있을 수 있습니다. 치료는 크게 두 가지로 스테로이드 국소 주사와 수술적 치료가 있습니다.
스테로이드 주사
뼈주사라고도 하는데요. 스테로이드와 함께 국소 마취제를 일부 섞어 문제가 있는 힘줄막 안으로 투여하는 방법으로 간단히 처치할 수 있으나 손바닥의 감각이 예민하여 바늘을 찌를 때 통증이 심한 것이 단점입니다. 주사의 효과는 한번 주사 후 2~6개월 정도 효과가 지속되며 한 번에 완전히 낫거나 수년 정도 뒤에나 재발하는 분도 있습니다. 설사 중간에 재발하여 통증이 있더라도 주사는 2개월 정도 이상의 간격을 띄워 맞아야 하며 연속해서 2~3회 정도 주사할 수 있습니다.
수술적 치료
주사 맞은 환자의 경우에 75%가 완쾌됩니다. 나머지 분들은 수술로 치료가 필요합니다. 주사 후 1~2 개월 이내에 통증이 다시 재발하거나 증세가 6개월 이상 되었거나 아니면 여러 개의 손가락이 한꺼번에 아픈 경우 주사로는 잘 낫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수술적인 치료의 대상이 됩니다.
다른 이유로는 당뇨병과 류머티즘의 경우에도 주사로 낫는 경우가 50% 미만으로 수술적인 치료를 하게 되는 환자가 많습니다. 수술은 힘줄을 조이고 있는 통로를 절개만 해주면 되는 간단한 조작입니다.
치료만큼이나 예방이 중요합니다. 손을 많이 사용하지 않고 관절을 충분히 휴식할 수 있게 합니다.
스트레칭을 자주 하시는 게 좋고, 손을 많이 사용하셨다면 손목까지 따뜻한 물에 담그고 10분 정도 마사지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스마트폰을 자제해서 사용하는 것이 예방법 중에 하나입니다.
지금까지 방아쇠 수지 증후군 원인 및 치료법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건강정보 * > 건강 정보들 1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콜린성 두드러기 증상 및 원인과 예방법 (1) | 2022.08.29 |
---|---|
손 껍질 벗겨짐 원인 및 치료 예방법 알아보기 (1) | 2022.08.29 |
목에 가래 낀 느낌 및 원인 알아보기 (0) | 2022.08.29 |
쿠싱증후군 증상 및 원인 치료방법 (0) | 2022.08.29 |
하지 정맥류 초기 증상과 원인 치료방법 (0) | 2022.08.29 |
댓글